코람코의 ESG 경영은 일시적 필요에 의한 ESG 포장이 아닌, EㆍSㆍG 각 요소별 문제해결을 통해
우리가 궁극적으로 지향하고자 하는 지속가능한 성장의 원천입니다. 특히, 부동산을 매개로 사업을 영위하는 코람코에게는 Environment(환경)관련 이슈가 가장 크고 중요한 고려 요소입니다.
코람코는 환경 친화적 투자원칙을 세우고 그 원칙을 바탕으로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발굴하고 있습니다. 한때 부동산 투자시장에서 친환경 요소 도입은 '높은 투입비용 대비 낮은 투자효율'이라는 선입견 때문에 외면받기도 했지만 코람코는 그 선입견을 불식시키고 친환경의 정당한 가치를 인정받게 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오고 있습니다.
주요 추진활동
환경 우선 경영 및 친환경 투자·운용
ESG 전담 조직 구축
ESG 위원회·사무국·실무추진단 조직하여 전사 ESG 경영체계 구축
ESG 전략 설정 및 방향성 관리·점검·실천 통해 지속성장 견인
투자 및 자산관리 시 ESG 정량지표 활용
그린 스마트빌딩지표(친환경 빌딩관리지표)기반 자산관리 (2015년 카이스트와 공동 개발한 투자자산 ESG 평가지표)
그린스마트지표 활용 자산관리 사례
보유 부동산 자산의 에너지 효율화 시스템 도입
: 노후 보일러 및 공조기 교체, 공용부 조명 교체 등을 통해
온실가스 저감
보유 자산 물 순환체계 구축 및 수자원 절감 활동
: 빗물 활용(살수용, 조경용 등) 및 수도물 중수도 설치로
생활오수 자가처리
에너지 절감 및 온실가스 배출 감축
旣 투자 자산 에너지 효율화를 통한 운용비용 절감 및 자산가치 제고
건물별 에너지/온실가스 배출량 모니터링 및 관리계획 수립
에너지 효율화, 친환경 운용을 통한 GRESB 등 국제 평가(예정)
친환경 상품 및 서비스 개발
투자유형 및 대상자산에 따른 다각화된 친환경 전략 추구
실물자산 투자 시
친환경 자산 우선 확보 및 친환경 인증작업 수행
- ‘21년, 이스트센트럴타워 (녹색건축 최우수 등급, LEED 인증
추진 중)
- ’20년, 분당 두산타워 (녹색건축 최우수등급)
- ’18년, 강남 더에셋 (LEED골드), 17년, 마제스타시티( LEED
플레티넘)
노후 부동산자산 투자 시 친환경 밸류애드 통한 자산가치 제고
- 기존 노후 설비 개선 및 신재생에너지 설비, 에너지효율화 시스템
도입 등 친환경 자산으로 리모델링 (케이스퀘어 신촌/중계 등)
개발사업 추진 시
친환경 목적물 우선 고려 및 건축 시 친환경 요소 적극 도입
- KEP 목감주유소 개발 : 기존 주유소 대신할 친환경 전기차충전소
신규개발(신재생에너지 활용, 물/폐기물 재활용시스템 도입)
- 가산 데이터센터 개발 : 친환경적 설계 및 전력효율 극대화 통한
녹색건축물 인증 최우수 등급 확보예정